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태그
- 설치
- 하루노트
- 국비지원
- 웹 개발
- mysql
- 클라우드기반파이썬네트워크정보시스템과정
- Tomcat 9.0
- JSP
- 이미지 태그
- 자바
- 가상머신
- 연습
- 부산아이티윌교육센터
- 정답
- VirtualBox
- 지스타 통역
- HTML
- 오류
- 후기
- 블로그
-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태그
- javascript
- OSSU
- eclipse
- MIT 챌린지
- database
- 일기
- sql
- Today
- Total
민둥 개발자의 계발 블로그
[mysql]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관리 (저장, 갱신, 삭제) 본문
안녕하세요 민둥산의 민둥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mysql 기준) 내에서의 테이블 생성 방법 및, 데이터 입력, 갱신, 조회, 삭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리눅스의 터미널에서 실행되기에 리눅스 루트 계정과 mysql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어야겠죠?
mysql -uroot -p
이 코드에서 보시면 '-u' 는 "어떤 계정에 접속할지 물어보는 명령어"이고 그 바로 뒤에 'root'는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하겠다"라는 의미입니다. 뒤에 오는 '-p'는 패스워드 입력 방식으로 로그인한다는 의미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설명했지만 복습겸,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들은 테이블이라는 형태로 저장된다고 했었는데요, 테이블 내의 세로축(칼럼)은 문자, 숫자, 날짜 등의 한 종류의 데이터 타입을 가진 속성을 표현하고, 가로축(로우)은 각 속성에 해당하는 값인 레코드를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에 앞서 테이블의 속성, 즉 칼럼을 먼저 지정해주어야겠죠?
우선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데이터의 접근방식이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 칼럼 -> 레코드이기에 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중에 1개를 선택합니다. 저는 학원에서 hr.sql이라는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을 받아서 사용했습니다. 연습에 필요하시면 첨부파일에 있으니 가져가세요^^
하지만 처음 mysql을 사용한다면 데이터베이스가 없는 경우도 있겠죠. 그럴 때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참고로 키워드(예약어)들은 대문자로 쓰시는 게 좋습니다. mysql의 경우 소문자도 받아들이지만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게 될 수도 있으니 말이죠.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hr(데이터베이스명);
여기서 hr은 제가 지정한 데이터베이스명입니다.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확인
SHOW DATABASES;
데이터베이스 선택/사용
use hr(데이터베이스명);
테이블 생성(CREATE)
CREATE TABLE test_nn(테이블명)
(name VARCHAR(30), age INT);
테이블명 다음에 오는 괄호 안의 값은 각각 (칼럼명 데이터타입) 입니다. 여러 컬럼을 동시에 생성 가능하고 각 컬럼 사이에 콤마를 찍어서 구분해주어야 합니다.
※참고로 한 줄에 다 써도 되지만 줄이 길면 중간에 엔터 치셔도 문제없습니다. 다만 오류를 내면 위에 있던 줄은 수정을 못하기에 다시 치셔야 합니다. 또한, 데이터 타입도 대문자로 작성해야 합니다.
존재하는 테이블 확인(SHOW)
SHOW TABLES;
테이블 선택할 때 어떤 테이블들이 있었는지 보아야겠죠?
테이블 속성 확인(DESC)
DESC test_nn;
테이블 내의 속성들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입력(INSERT INTO)
INSERT INTO test_nn
VALUES ('Min', 21);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칼럼1 값, 컬럼 2 값)으로 입력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데이터 입력 시 각 칼럼의 순서대로 입력할 것, 데이터 타입에 맞는 값만 입력할 것 (특히 문자열은 ' 작은따옴표'로 감싸주셔야 합니다).
데이터 갱신(UPDATE)
UPDATE test_nn
SET name= 'Mindoong'
WHERE age = 21;
이미 저장된 데이터의 값을 수정하는 경우입니다. SET 바꿀 칼럼명 = 바꾸는 값 WHERE 조건으로 입력 합니다. 저는 원래 저장 되어있던 'Min' 이라는 이름을 나이가 21살인 데이터에 접근하여 'Mindoong'으로 바꾸었습니다. WHERE절은 아마 다음 포스팅에 추가로 설명드릴 것 같습니다.
데이터 삭제(DELETE FROM)
DELETE FROM test_nn
WHERE name='Mindoong';
잘못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을 경우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으로 입력합니다. 저는 이름이 'Mindoong'인 데이터 로우를 삭제했는데요, 여기서 조심하셔야 할 부분은 DELETE FROM 테이블; 하고 조건을 안 붙여 주시면 테이블 내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니 정말 정말 조심하셔야 합니다!!
끝으로..
데이터 베이스의 명령어는 약간 영어?를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죠? 영어로 말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 입력, 수정, 삭제에 관한 명령어였는데 다음 포스팅에는 데이터 조회에 관해서입니다!
p.s. 코드 블록의 테마를 바꾸었는데 어떤가요? 조금 더 멋지지 않나요?
'Study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데이터베이스 WHERE 절 (0) | 2022.05.16 |
---|---|
[mysql]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제약조건! (0) | 2022.05.15 |
[mysql]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조회하는 법 (SELECT 문)! (0) | 2022.04.27 |
Database 기본 개념 및 문법 (0) | 2022.04.19 |
데이터 베이스 공부 시작! 기본 세팅! (0)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