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TML
- MIT 챌린지
- Tomcat 9.0
- 지스타 통역
- 이미지 태그
- 클라우드기반파이썬네트워크정보시스템과정
- eclipse
- 오류
- 국비지원
- 블로그
- 일기
- JSP
- 태그
- database
- OSSU
- 부산아이티윌교육센터
- 하루노트
- 테이블 태그
- javascript
- 정답
- 웹 개발
- 데이터베이스
- 설치
- mysql
- sql
- 가상머신
- 연습
- VirtualBox
- 자바
- 후기
- Today
- Total
목록sql (4)
민둥 개발자의 계발 블로그

데이터 정의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의 약자 데이터베이스 구조 또는 스키마(schema)를 정의함 ※직접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기에 입력하는 순간 AUTO COMMIT이 됨 Auto commit에 관한 설명은 트랜젝션어(TCL)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데이터 정의어 모음 CREATE 데이터베이스의 객체를 생성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등) ALTER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 DROP 데이터베이스의 객체를 삭제(객체 내의 모든 데이터 및 구조 삭제) RENAME 데이터베이스의 객체 이름 변경 COMMENT 데이터에 주석을 추가 TRUNCATE 테이블에 할당된 공간을 포함한 모든 레코드 제거 CREATE 구문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을 생성할 때 ..

더보기 안녕하세요, 민둥산의 민둥이입니다. 한 한 달간 아무 글도 올리지 않아 정말 죄송합니다(꾸벅). 앞으로는 자주 올리지 않더라도 총정리 글처럼 내용을 한 번에 보기 쉽게 하는 글이라도 가끔씩 올리려 합니다. 마침 지금 배우는 데이터베이스의 큰 단원(?)이 끝났기에 총정리 글을 올릴까 합니다(그렇다고 이게 마지막 DB글인 것은 아닐 수도??). 그동안 정리했던 글의 문법은 간단한 설명만 넣고, 올리지 않았던 문법들은 추가 설명을 부가하겠습니다. 약 한달간 무소식이었던 것에 변명을 하자면.. 정보처리기능사 시험공부(아직 필기만 합격하고 실기는 곧)... 그리고 최근에 또 Evernote에서 notion(노션)으로 노트를 옮겼기에 나름 정리를 하는 시간이었달까요 하하..~ 열심히 하겠슴돠! DB 정리 목..

안녕하세요, 민둥산의 민둥이입니다. 저저번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을 조회하는 SELECT 구문을 알려드렸는데요, 사실 알려드린 것보다 더 훨씬 더 다채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SELECT 구문입니다. 이 SELECT 구문을 더 다채롭게 만드는 절 중 하나가 바로 WHERE절입니다! 저번에도 말했듯이 sql 구문은 영어를 말한다는 느낌과 같다고 했는데요, 여기서 이 WHERE의 의미도 똑같습니다. "Show me the column where salary is lower than 100000" 을 직역하면 "월급이 100000보다 적은 컬럼을 보여줘"가 되는데요, 여기서 where의 사용은 조건을 명시하는데 쓰이죠. sql 구문에서도 똑같이 조건을 명시하는 용도로 WHERE를 씁니다. 기본 문..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을 뜻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저장, 수정, 삭제, 출력 등을 활용 가능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표의 모양으로 저장합니다. 이 표를 테이블(table)이라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1개가 아니라 여러 개 생성이 가능하며 비슷한 카테고리의 데이터들을 모아 둘 때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넣어 둡니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입니다. 테이블(Table)의 구성 테이블의 세로축을 열/칼럼(Column)이라고 부르며, 칼럼에는 저장할 데이터의 속성을 입력합니다. 카테고리명이라고..